【STV 김충현 기자】1인 가구가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보편적 장례 모델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1인 가구는 전체 가구의 34.5%에 달한다. 이는 5년 전인 2017년(28.6%)에 비하면 5.9%p(포인트) 늘어난 수치이다.
1인 가구 수가 해마다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이들의 장례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최근 고독사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데, 1인 가구는 종국에 고독사를 할 수 있다는 위기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 노원구에 사는 박정호(가명·45) 씨는 “혼자 사니 언제 세상을 떠나도 사람들이 오랜 시간 후에 알게 될 수도 있다”면서 “장례는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모르겠다”라고 말했다.
이들 1인 가구는 고독사보다도 몇 달씩 지난 후 자신의 시신이 발견되는 상황을 걱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독사 후 일정 시간 이상이 지나면 시신 수습이 무척이나 까다로워진다.
일각에서는 공영장례보험을 도입해 1인 가구의 장례준비를 돕자는 말이 나온다.
공영장례보험은 이미 독일·일본 등지에서 시행되고 있다. 일정 금액을 공영장례 보험비용으로 생전에 지불하면 자신이 세상을 떠난 후 장례를 치뤄 준다.
한국에서도 이 같은 상황에 대비해 정부 차원에서 공영장례보험 도입을 고려해볼 수 있다. 다만 해당 사안은 상조·장례업계와의 상의가 필요하다.
또 다른 이들은 ‘공영장례’ 방식을 도입해 아예 국가가 장례를 치러줘야 한다고 주장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국가가 어디까지 보편적 복지 차원에서 보장해줘야 하느냐를 놓고 논쟁이 붙을 수 있다. 게다가 예산 확보까지 감안하면 해당 논의는 시작부터 벽에 부딪힐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