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박상용 기자】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가 친윤계 일색으로 구성되면서 전당대회 룰 변경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관심이 쏠린다.
친윤계는 ‘당원 100%’ 전당대회 룰 변경과 조기 전대를 주장해 왔다.
13일 여당에 따르면 비대위 7명 중 다수는 친윤계로 분류된다.
황우여 비대위원장 외에 추경호 원내대표와 정점식 정책위의장, 여기에 충청 지역 재선 엄태영 의원과 검사 출신의 강원 지역 재선 유상범 의원, 국회에 처음 입성하는 김용태 당선인이 임명됐다. 수도권에서 낙선한 전주혜 비례대표 의원도 합류했다.
비대위는 ‘영남당’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위해 지역균형에 주력한 것으로 보인다. 당연직인 추 원내대표와 정 정책위의장 외에는 영남 인사가 없다.
추 원내대표는 윤석열정부 초대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지낸 친윤 인사이다. 김용태 당선인을 제외한 3명의 임명직 비대위원들도 친윤계로 분류된다.
이러다보니 친윤계로 구성된 비대위가 ‘100% 당원’에 의한 선출이라는 전당대회 룰을 바꿀 수 있겠느냐는 의문이 제기된다.
앞서 전당대회 룰은 일반 여론조사 30%를 반영했지만, 지난해 3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원 100%로 룰을 변경한 바 있다.
그런데 친윤계는 전당대회 룰 변경 반대와 함께 조기 전당대회를 주장하고 있다. 황 위원장이 일정상 전당대회가 연기될 수 있다고 말하자 즉각 이에 반발하며 예정대로 진행해야 한다고 맞선 바 있다.
친윤계 일각에서는 전당대회 연기가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위한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정치적 책임을 지고 비대위원장직에서 사퇴한 한 전 위원장에게 개인적으로 회복할 시간을 벌어주면서 재개의 기회를 주려고 전당대회를 연기한다는 것이다.
다만 당내 일각에서는 전당대회 룰을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꾸준히 나오는만큼 친윤계가 일방적으로 당원 100% 룰을 고수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