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충현 기자】최근 장례업계에는 ‘3일장’이 실종되고 있다.
동절기라는 계절적 요인으로 화장수요가 급증하면서 서울·경기 수도권뿐만 아니라 광역시 권역으로 화장대란이 벌어지고 있어서다.
‘3일장은 불가능, 4일장은 가능할 수도’라는 말이 회자될 정도로 3일장은 어려운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앞서 코로나 팬데믹 기간에 화장대란이 벌어졌다. 한국장례협회가 정부에 화장장 가동 횟수를 늘려달라고 요청하면서, 정부가 추모공원을 운영하는 각 지자체에 협조공문을 보냈고, 그제서야 화장대란은 수그러들었다.
하지만 ‘이제는 화장대란이 상시화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계절적 요인 때문이 아니라 사망자 수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망자는 2022년 37만2,800명에서 꾸준히 증가해 2030년 40만명대까지 증가한다.
2038년에는 50만, 2045년에는 60만, 2052년에는 70만명을 돌파할 전망이다.
이처럼 사망자가 폭증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전국의 화장시설 공급은 원활하지 않다. 수도권에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이 모여 사는데도 운영 중인 화장장은 7곳에 불과하다.
전국 62개 화장장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수도권에 설치된 화장장 수는 전체의 11%에 불과하다.
다행히 수도권 외 지역에는 대도시권역을 제외하면 화장장 공급이 원활하지만, 수도권의 수급 불균형은 심각한 상황이다.
정치권에서는 화장장 설치를 외면해왔다. 지역주민들이 집값 등을 이유로 반발하는 상황에 굳이 표가 떨어지는 화장장 설치를 추진하지 않은 것이다.
경기 이천에서는 인근 지자체인 여주시와의 대립까지 불사하며 시립화장장 건립을 밀어붙였으나 첫 삽도 뜨기 전에 좌절되고 말았다. 이는 추진 의지를 가진 당시 이천 시장이 주민들 설득에 실패한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장례업계 관계자는 “결국 정치권이 대승적으로 풀어야할 문제”라면서 “님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화장장 설치 지역에 막대한 인센티브를 쏟아부어야 할 것”이라고 귀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