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박상용 기자】국민의힘 지도부와 혁신위원회의 갈등이 극에 달하면서 혁신위 출범 당시 당 안팎에서 휘몰아치던 ‘수도권 위기론’도 오간 데 없이 사라진 분위기이다.
혁신위의 등장은 신선했다. 홍준표 대구시장과 이준석 전 대표의 징계를 취소하면서 당의 화합을 도모했다.
이어 인 위원장은 당 지도부·중진·친윤(석열)계 의원들에게 험지 출마 혹은 불출마를 요구했다.
차기 총선 최대 격전지인 수도권에 당 지도부나 중진, 친윤계 의원들이 대거 출마해 승리해야 한다는 게 인 위원장의 지론이었다.
하지만 인 위원장의 희생 요구에 당 지도부나 중진, 친윤계 의원들은 전혀 응답하지 않았다.
김기현 대표마저 희생 요구를 외면하고, 자신의 지역구에서 의정보고회를 열면서 즉답을 피하기만 했다.
인 위원장은 연일 지도부와 중진을 압박했지만, 친윤 핵심인 권성동 의원과 장제원 의원은 희생 요구를 거부하고 지역구 출마를 선언했다.
이 와중에 혁신위는 당 지도부에 희생 요구 의결을 요구하기로 했다.
당 지도부와 혁신위가 티격태격하는 가운데 ‘수도권 위기론’ 논의는 아예 사라졌다.
만약 혁신위의 희생 결의안이 의결되지 않고 좌절하면 당 지도부가 얻는 것은 무엇일까.
혁신 대상으로 전락했던 김 대표가 버티고 버티면서 자기 자리만 지켰다는 게 당 지도부의 최대 수확이 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