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SJ news

삶과 죽음이 맞닿아있어…죽음에 대해 더 활발히 논의해야

동서양의 차이가 죽음에 대한 태도 차이 만들어


삶과 죽음이 맞닿아있어…죽음에 대해 더 활발히 논의해야

동서양의 차이가 죽음에 대한 태도 차이 만들어

 

 

사람은 누구나 죽는다. 예외는 없다. 이때문에 ‘죽음’은 근원적인 공포의 대상이다. 죽으면 모든 게 끝이라는 생각과 단절, 소외 등의 단어가 죽음과 겹쳐진다.

 

고독사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지만 친인척이 지켜보는 상황에서 맞는 죽음도 공포의 대상인 것은 마찬가지다. 요컨대 사람은 누구나 죽고 또, 죽음에 대한 공포를 느낀다.

 

서양에서는 ‘메멘토 모리(죽음을 기억하라)’로 죽음을 자꾸만 되새기며 삶의 소중함을 절실히 깨닫는다. 그런데 왜 동양에서는 죽음을 부정적으로만 바라볼까?

 

유교의 창시자로 알려진 공자는 제자 자로가 죽음에 대해 묻자 “삶도 모르는데 어찌 죽음에 대해 알 수 있겠느냐!(未知生焉知死)”라고 외쳤다. 죽음보다 삶이 중요한 것이니 죽음 후의 세계, 특히 제사 등으로 대표되는 미신에 집착하지 말라는 뜻이었다. 산 사람도 제대로 섬기지 못하면서 귀신 섬길 생각을 하지 말라는 공자의 준엄한 꾸짖음이었다.

 

 

이처럼 공자가 내비친 죽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후대로 이어졌다.

 

이후 동양에서는 죽음에 대해 엄격한 태도를 취했다. 죽으면 모든 것이 끝난다는 태도로, 삶에 집착했다.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낫다’는 속담은 삶에 대한 사람들의 집착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아무리 혹독한 환경에서 살더라도, 죽는 것보다는 낫다는 심경을 담은 이 속담은 생을 향한 사람들의 강렬한 의지를 북돋았다. 이 같은 삶의 태도는 정치, 경제, 문화 등 전 분야로 이어져 대다수의 사람은 죽음보다는 삶을 이야기하고 노래한다.

 

사실 우리의 눈앞에는 언제나 죽음이 펼쳐져있다. 언제 어디서 끝날지 모르는 것이 생(生)이기도 하다. 얼마 전에 행사 때문에 야근을 마치고 집에 돌아가다 투신자살하는 사람에 부딪쳐 숨진 공무원 가장이 있다. 얄궂게도 공무원과 부딪친 사람도 공무원 시험 준비생이었다. 이처럼 삶은 예측할 수 없다. 그래서 삶과 맞닿아있는 죽음에 대해 본격적으로 논의해야 한다.

 

서양을 전반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것은 기독교다. 기독교에서는 사후 심판을 받고 가는 곳이 천국 혹은 지옥으로 나뉜다고 한다. 이때문에 살아생전에 사랑을 실천하고, 낮은 데로 임하는 예수님을 닮으려는 노력을 한다. 서양인에게 죽음은 슬픔이 아닌 하나님과 가까워지는 계기다. 이때문에 장례식장에서도 울지 않고, 찬송을 부르며 기도한다.

 

서양과 기독교의 정서를 100% 받아들이기는 힘들더라도 우리는 죽음에 대해 이야기해야한다. 삶만큼이나 소중한 죽음이 우리를 피해가지 않기 때문이다. 죽음에 대해 꾸준히 이야기하고, 죽음의 의미를 되시길때 비로소 삶의 의미도 더욱 소중히 느껴질 것이다.


문화

더보기
임현정, 바흐 평균율 전곡 리사이틀 성료…“피아노는 내 영혼의 도구” 【STV 박란희 기자】임현정의 바흐 평균율 1&2권 전곡 리사이틀이 지난달 29일 오후 5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극소수 피아니스트만 도전하는 히말라야급 레퍼토리인 평균율 1권과 2권을 전곡 암보로 완주한 이례적 공연은 총 240분 동안 관객들에게 깊은 울림을 선사했다. 48개의 프렐류드와 48개의 푸가, 총 96곡이 담긴 이번 연주는 단순한 교과서적 해석을 넘어 인간의 희로애락, 바흐 음악 속 수학적 구조와 신성한 질서를 섬세하게 그려냈다는 호평을 받았다. 임현정은 “평균율을 사용하여 음악의 모든 조성을 다루며 가장 난해한 작곡법인 대위법을 이용하여 사운드 과학을 최상의 경지로 이끌어 올린 것이 바로 바흐의 평균율이다”라며, “클래식 음악의 교과서이자 음악의 구약성서로 불린다. 지구가 멸망해도 평균율만 있다면 음악을 되살릴 수 있다”고 연주 팜플렛을 통해 전했다. 또한 “수많은 규칙이 존재하는 제약 속에서 황홀한 영감과 직관, 창조력이 담긴 평균율은 자유와 아름다움의 결정체다”라며 바흐의 음악을 향한 경외를 드러냈다. 이번 무대는 바흐의 본질에 가까워지기 위한 임현정만의 접근법이 돋보였다. 특히 "피아노는 내 영혼이 닿는 도구"

지역

더보기
프리드라이프, 상조업계 첫 호주 크루즈 여행 론칭 【STV 박란희 기자】프리드라이프가 상조업계 최초로 호주로 크루즈 여행을 떠난다. 프리드라이프(대표 김만기)는 오는 11월 업계 첫 호주 크루즈 여행을 기념해 6월 한 달간 ‘처음 만나는 호주’ 크루즈 얼리버드 특가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9일 밝혔다. 프리드라이프가 처음 선보이는 호주 크루즈 여행은 11월 3일 대한항공 직항으로 호주 브리즈번에 도착한 후 세계 최대 규모의 선박을 보유한 선사 로얄캐리비안의 퀀텀호를 타고 7박 8일간 호주 일대를 누비며 관광과 휴양을 즐기는 상품이다. 브리즈번은 호주를 대표하는 제3의 항구도시로 아름다운 섬과 해변을 자랑한다. 브리즈번 강가에 자리한 인공 해변 스트리트 비치에서 물놀이를 즐기거나, 마운틴 쿠사 전망대에 올라 탁 트인 브리즈번 시내를 감상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식물이 가득한 도심 정원인 보타닉 가든과 40km의 황금빛 해변이 펼쳐지는 골드코스트 비치, 청록빛 바다와 해안선이 환상적인 에얼리 비치 등 호주를 대표하는 명소들이 즐비하다. 호주 퀸즈랜드주의 대표 휴양도시인 케언즈도 빼놓을 수 없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원시 열대우림 쿠란다는 영화 ‘아바타’의 모티브가 된 원시의 숲으로, 쿠란다 시닉 레일 웨리

연예 · 스포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