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 연장론’과 ‘정권 교체론’의 흐름이 뒤집힌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조사에서 정권 교체를 희망하는 여론이 정권 연장론에 비해 11.7%p(포인트) 높았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반대로 뒤집혀 정권 연장론이 2.4%p(오차범위 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16∼17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천4명을 대상으로 차기 대선 집권 세력 선호도를 조사(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한 결과, '집권 여당의 정권 연장' 의견은 48.6%, '야권에 의한 정권교체'는 46.2%로 집계됐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5.2%였다. 일주일 전 조사 대비 정권 연장론은 7.4%p 상승했고, 정권 교체론은 6.7%p 하락했다. 11.7%p 높았던 정권 교체론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정권 연장론의 목소리가 더 커졌다. 다만 정권 연장론은 정권 교체론 대비 오차범위 이내인 2.4%p 높았따. 리얼미터는 “지난해 12월 넷째 주 조사에서는 '야권 정권교체론'이 '여당 정권 연장론'보다 거의 2배가량 우세한 결과를 보였으나 이후 두 의견 간 격차는 매주 좁혀졌고, 한 달 만에 '정권연장 대 정권교체' 프레임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라고 했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대구·경북(정권 연장 60.5%, 정권 교체 34.2%)과 부산·울산·경남(53.4%, 43.8%) 등 영남권에서 정권 연장론이 강했고, 호남권(34.9%, 58.3%)과 충청권(42.3%, 52.8%)에서는 정권 교체론이 강했다. 인천·경기(50.8%, 44.7%)와 서울(47.3%, 46.0%) 등 수도권에서는 박빙이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70세 이상(정권 연장 61.0%, 정권 교체 32.2%), 60대(57.4%, 34.2%), 20대(52.7%, 43.9%)에서 정권 연장론이 강했고, 50대(37.3%, 57.2%)와 40대(36.7%, 59.9%)에서는 정권 교체론이 높았다.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는 국민의힘이 46.5%로 5.7%p 상승했으며, 더불어민주당은 39.0%로 3.2%p 낮아졌다. 지난주 1.4%p로 오차범위 내였던 양당 지지도 격차는 오차범위 밖인 7.5%p 차이까지 벌어졌다. 이번 조사는 무선(97%)·유선(3%)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고, 응답률은 7.8%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