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충현 기자】정부가 지속 가능한 장례를 위해 봉안당 이후 ‘산골장’을 도입했지만 세세한 방식을 놓고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다.
완전 산분장(자연장)의 경우 환경적 악영향이 없고, 지속 가능한 장례에 최적이라는 의견이 대세이지만 반면에 “고민을 추모하기가 어렵다”라며 아쉽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1월부터 산분장을 공식 도입했다. 산분장이란 화장 후 유골분을 뿌리는 형태의 장법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자연장을 의미하는데 수목장, 잔디장, 화초장, 해양장 등이 있다.
현재 자연장 중에서는 수목장이 가장 활발하다. 가족목(家族木)으로 나무 한 그루를 지정해 같이 합장이 되는 경우가 있으며, 다른 사람들과 단체로 합장되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바다에 유골을 뿌리는 해양장도 주목받고 있다. 2012년 해양수산부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산분으로 인한 환경적 영향이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해양장 수요도 차츰 늘고 있다.
그런데 사별자들이 산분장 이후 (고인의 흔적을) 만지거나 추모할 장소가 구체적이지 않아 상실감을 느끼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도권의 한 추모공원 관계자 A씨는 “특정 물건을 만지거나 추모할 장소라도 있어야 효과적으로 고인을 추모할 수 있는데 사별자들이 그런 점을 가장 아쉬워하더라”라면서 “봉안당의 경우 봉안함이 있으니 고인과 같이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지 않나”라고 했다.
즉 산분장이라 하더라도 고인에 대한 최소한의 표식이나 흔적을 남겨놓아야 추모나 애도 작업이 수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상조·장례업계에서도 공통적으로 되새길만 하다. 장례를 치른 이후 사별자들은 무언가를 추모하거나 애도할 때 표식이나 흔적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산분장은 ‘지속 가능한 장례법’이긴 하나 단순히 기술적인 부분에만 천착하게 되면, 사별자들의 마음을 다치게 할 수 있다는 한계가 분명 존재한다.
한 장례업계 관계자는 “이제는 단순히 상조·장례 상품만을 판매하는 걸 넘어 사별자에 대한 배려가 담긴 기획을 해야 한다”면서 “고인의 표식을 남기는 건 사소한 부분 같지만 디테일 측면에서 중요하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