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잉 살게”…‘관세 협상’ 전 국가들 구매나서

2025.04.21 07:52:20

상호관세 부과 전 협상 우위 점하려 안간힘


【STV 차용환 기자】상호관세(reciprocal tariff)를 90일간 유예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에 발맞춰 각국이 트럼프 대통령의 심기를 거스르지 않게 노력하고 있다.

각국은 미국산 제품을 구매하거나 미국에 대한 행정 절차에 속도를 내고 있다.

월스트리스저널(WSJ)에 따르면 베트남은 최근 미국 항공기 제조업체 보잉과 3억 달러(약 4259억 원) 규모의 신형 항공기 구매를 위해 금융 계약을 맺었다.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인 일론 머스크가 서비스하는 위성 인터넷 스타링크의 승인을 진행했고, 15억 달러 규모의 트럼프 대통령 전용 리조트 건설 승인도 했다.

베트남은 미국으로부터 46%의 상호관세를 부과받았다.

2018~2019년 1차 미중 무역전쟁 당시 중국이 베트남을 우회 수출 통로로 이용하면서 베트남이 미국의 최대 무역 적자국으로 부상했기 때문이다.

베트남은 지난해 미국과의 무역에서 1235억 달러(약 176조 원)의 흑자를 기록했다. 이는 대중국 무역 적자 폭의 두 배에 달한다.

타국도 미국산 제품의 구매를 늘리고 있다.

태국은 미국산 옥수수 사료를, 유럽연합(EU)은 미국산 대두와 LNG 구매를 늘리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인도도 2030년까지 미국과 교역을 5000억 달러(약 711조 원)로 증가시키겠다고 했다. 

이스라엘은 아예 74억 달러(약 11조 원) 규모의 대미 무역 흑자를 없애겠다고 공언했다.

그러나 각국의 이 같은 약속이 지켜질지는 미지수다. 실제로 미중 1차 무역전쟁 당시 중국은 중국 농업 시장 개방, 미국 지식 재산권 보호 등의 합의를 했다. 하지만 미국은 중국이 당시 합의를 이행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차용환 기자 tk2018@naver.com
Copyright @2007 STV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STV ㅣ 사업자등록번호 : 298-86-00066 서울 영등포구 국회대로68길23, 902 ㅣ 대표전화 : 02-6264-4114 팩스 : 02-6442-5113 등록번호 : 서울아00455(2007.11.8) /발행인: 박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