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차용환 기자】10년 만에 고위급 핵 협상을 재개한 미국과 이란이 두 번째 협상을 앞두고 방식과 의제를 놓고 팽팽한 신경전을 벌였다.
미국은 이란이 핵무기를 포기하지 않을 경우 군사 행동을 예고했으며, 이란은 핵 프로그램과 제재 해제 교환이라는 의제에 국한되어야 한다면서 간접 대화를 강조했다.
13일(현지시간) AFP 통신에 따르면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부 장관은 이날 CBS 방송 인터뷰에서 미군이 “더 크고 깊은 움직임”에 나설 준비가 되어 있다고 역설했다.
헤그세스 장관은 전날 진행된 양측 첫 고위급 회담에 대해 “생산적이었다”라면서도 이란이 핵무기 개발에서 손을 떼도록 하는 목표를 외교적 방식으로 달성하지 못할 경우 군사 행동을 시사했다.
그는 “그렇게 하기를 원치 않는다”면서도 “하지만 이란이 핵무기를 수중에 넣는 것을 막기 위해 필요하다면 (군사행동을) 할 수밖에 없다”라고 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또한 이란과 핵 협상이 결렬될 경우 이스라엘과 공동으로 군사 행동에 나설 수 있다면서 ‘폭격’ 가능성까지 언급했다.
이날 에스마일 바가이 이란 외무부 대변인은 국영TV와 인터뷰에서 다음 협상이 핵 문제와 제재 해제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면서 “미국 측과 다른 어떤 다른 의제에 관해서도 대화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미국이 이란의 ‘저항의 축’ 군사 지원과 관련해 문제 삼을 수 있는 탄도미사일 개발 프로그램 등 국방력과 관련된 부분은 협상의 대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바가이 대변인은 2차 협상 방식에 대해서도 “계속 간접적인 방식으로 이뤄질 것이며, 오만이 중재자로 남을 것”이라고 했다.
미국과 이란은 핵 협상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으며, 트럼프 행정부 1기 당시 결렬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