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충현 기자】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 17일 국민의힘을 탈당했지만, 이는 대선 후보 토론회를 앞두고 급작스럽게 실행된 것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윤 전 대통령은 탈당 입장을 표명하면서도 탄핵 및 파면으로 이어진 12·3 비상계엄에 대한 사과는 끝내하지 않았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17일 국민의힘을 전격 탈당했다.
이는 지난 15일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탈당을 정중히 요청할 것”이라고 말한지 이틀 만의 일이다.
윤 전 대통령은 탈당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당의 일방적인 탈당 요구에는 응하지 않겠다면서 강경한 태도를 유지한 바 있다.
그러나 첫 대선 후보 토론(18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당 안팎의 탈당 요구가 거세지자 전격 탈당을 감행했다.
실제로 대선 토론회에서는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를 향해 비상계엄에 대한 책임 추궁이 이어졌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윤 전 대통령의 탈당이 “정치전술”이라면서 “국민의힘이 윤 전 대통령을 제명했어야 한다”고 꼬집었다.
하지만 윤 전 대통령이 토론회에 앞서 탈당하면서 김 후보를 향한 공세는 힘이 빠진 감이 있다.
그러나 윤 전 대통령은 탈당 입장문에서 자신과 국민의힘을 곤경에 빠뜨린 12·3 비상계엄에 대한 반성이나 사과는 전혀 내놓지 않았다.
이때문에 탈당 타이밍이 너무 늦은데다 알맹이 없는 무늬만 탈당이라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오히려 윤 전 대통령은 “이번 선거는 전체주의 독재를 막고 자유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지키기 위한 마지막 기회”라면서 “국민의힘 김문수(후보)에게 힘을 모아 달라”라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