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클라우드 장애에 韓 피해가 유독 적은 까닭은

2024.07.22 09:25:02

국내 업체 대부분 안 써…전 세계 피해, 초연결시대의 역설


【STV 박란희 기자】마이크로소프트(MS) 윈도 운영 체제의 보안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오류로 전 세계가 통신 장애를 겪은 가운데 한국에서는 유독 피해가 크지 않았다.

세계 곳곳의 항공, 금융, 통신 등이 마비되면서 혼란이 잇따랐지만 국내에서는 MS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체가 적어 피해가 미미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지난 19일 발생한 MS 클라우드 서비스 장애로 국내 10개 기업이 피해를 입었음에도 주요 통신사업자는 피해가 없었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와 네이버·카카오·구글 등은 방송통신발전기본법상 재난 장애가 발생하면 보고 의무가 있다.

하지만 이들 업체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이용자 피해가 없었다.

일부 오류가 발생했던 제주항공, 이스타항공, 에어프레미아 등 국적사의 시스템도 전부 복구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국내 기업의 피해가 소소했던 이유는 이번에 문제가 된 미국의 사이버 보안 업체 크라우드스트라이크의 보안 소프트웨어를 많이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번 사이버 장애는 크라우드스트라이크의 보안 제품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면서 발생했다. 국내 기업들은 안랩 등 국내 기업의 보안 소프트웨어를 쓰고 있다.

국내 공공기관은 클라우등컴퓨팅법에 의해 보안인증(CSAP)을 받은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해당 소프트웨어는 CSAP 인증을 받지 않은 터라 공공기관이 사용할 수 없었다.

인천국제공항도 자체 구축 클라우드를 사용해 공항 운영이 지장이 없었으며, 국내 항공사 중에는 제주항공, 이스타항공, 에어프레미아 등 3곳만 오류가 발생했다.

국내 항공사 시스템 오류는 12시간 만에 복구됐다.



박란희 기자 24news@naver.com
Copyright @2007 STV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STV ㅣ 사업자등록번호 : 298-86-00066 서울 영등포구 국회대로68길23, 902 ㅣ 대표전화 : 02-6264-4114 팩스 : 02-6442-5113 등록번호 : 서울아00455(2007.11.8) /발행인: 박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