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1위 노인대국인 일본에서 노인들의 사후 뒤처리를 전문적으로 대행하는 서비스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일본처럼 다사(多死)사회에 접어드는 한국은 사후 뒤처리 서비스를 하는 업체가 마땅치 않아 하루 빨리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은 상황이다.
16일 아사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독거노인을 중심으로 사망신고서 제출 및 휴대전화 해지와 보험 및 신용카드 해지, 병원비 정산 등을 도맡아 처리해 주는 사후 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특히 일본은 1인 가구가 급증해 장례 후 뒤처리를 해줄 사람이 없는 경우가 많아 사후 서비스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갑작스러운 죽음을 맞은 후 친척이나 자녀 등에게 짐이 되고 싶지 않다는 이유를 들어 서비스를 신청하는 경우도 있다.

▲위 사진은 특정 기사와 관련 없습니다.
사이타마현의 한 임대주택에서 홀로 살고 있는 한 60대 남성은 2년 전 NPO(비영리단체)인 ‘라이프 앤 엔딩 센터’(LEC)와 사후 뒷처리 위임 계약을 했다.
이 남성이 세상을 떠나면 LEC가 사망신고서 제출, 휴대전화 해지, 유언장 실행 등을 도맡게 된다. 서비스 사용 비용은 기본 40만 엔(413만 원)이며, 이 남성은 추가비용이 발생할 가능성을 고려해 100만 엔(1035만 원)을 추가로 맡겨놨다.
스사이 미치코 LEC 이사장은 “사후에도 ‘폐를 끼친다’는 생각을 하지 않고 (고인의) 존엄성을 지키도록 하고 싶다”면서 “이 서비스는 사후의 불안함을 해소함으로써 현재를 안심하고 보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말했다. 도쿄에서 1993년부터 서비스 중인 사후 뒤처리 프로그램 ‘다람쥐 시스템’에는 현재 5000명이 가입해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사망자 수는 30만 5,100명으로 전년보다 1만 명 늘어 3.4% 증가했다.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2030년에는 사망자가 42만 명으로 증가하고, 2040년에는 55만 명까지 폭증한다.
한국도 일본처럼 다사(多死) 진입을 눈 앞에 두고 있는 셈이다. 문제는 이에 대한 뚜렷한 대비를 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일본은 슈카쓰(終活)를 도입해 사후 뒤처리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려고 하지만, 죽음이 여전히 금기시 된 한국에서는 슈카쓰 관련 업체는커녕 공개적으로 논의하는 것조차 쉽지 않다.
한 장례업계 전문가는 “죽음에 대해 적극적으로 준비하고 단계적으로 슈카쓰를 도입하는 등 공개적으로 죽음에 대해 말할 수 있어야 한다”고 충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