득표율은 49% VS 41%인데 의석수는 60% vs 34%다. 이것이 미래통합당과 그 지지자들이 현실을 인정하기 싫어하는 이유다.
득표율에서는 더불어민주당에 근소한 차이로 밀렸지만 의석수는 하늘과 땅 차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토록 의석수가 차이나는 것은 민주당 때문이 아니다. 승자독식의 소선거구제 때문이다. 통합당은 냉정하게 현실 인식을 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분명 3월 초반까지는 민심의 풍향계는 통합당을 향하고 있었다. 조국 전 법무부장관 사태, 북한에 대한 짝사랑식 외교, 반일로 일관하는 막가파식 외교 등이 민심을 악화시키고 있었다.

결정적으로 경제 부문에서 소득주도성장과 최저임금의 가파른 상승 등이 민심의 낙제점을 받았다. 민심은 정부여당을 심판할 준비를 했다.
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판을 뒤집었다. 정부여당은 연일 ‘위기’와 ‘재난’ 키워드를 강조하며 분위기를 띄웠다. 긴급재난지원금 드라이브를 걸면서 야당을 압도했다.
통합당은 오히려 긴급재난지원금 지원에서 선수치고 나가면서 지원 범위를 영세 자영업자와 취약계층으로 집중하자고 주장했어야 한다. 하지만 통합당은 우왕좌왕하면서 기선제압 당했다.
통합당 공천도 밀실·막장 공천을 연상케 했다. 대권주자로 분류되는 황교안 전 대표는 자신의 측근을 심기위해 중진 의원들의 지역구를 마구잡이로 이동시켰다. 가까스로 생존한 중진들도 있으나 그렇지 못한 중진이 한둘이 아니었다.
여론을 파악하는 데 가장 필요한 데이터 지원은 터무니없이 부족했다. 당의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이 제대로 운영되지 않으면서 유권자 빅데이터를 세분화해 접근한 민주당에 완패했다.
통합당은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정책 개발과 제시로 민심을 사로잡아야 한다. 이념이 아닌 실용으로 접근해야 한다. 대선까지 2년도 남지 않았다. 누더기집에 깨진 쪽박 몇 개 가지려고 싸울 때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