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사회팀】= 지난달 제조업 피보험자 규모가 357만5000명으로 2개월 연속 감소추세를 보이며 성장 정체 국면을 드러냈다.
서비스업은 피보험자 규모가 큰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 전문과학기술업 등을 중심으로 증가했으나 보건복지업의 증가폭은 크게 둔화됐다. 금융보험업은 11개월 만에 큰폭으로 감소했다.
13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17년 1월 고용보험에 가입된 상시근로자(상용+임시, 일용 제외)의 취업 활동 동향에 따르면, 전체 피보험자수는 1254만4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8만9000명(2.4%)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피보험자 규모는 계절적 영향 등으로 전월보다 떨어졌다. 증가 폭은 28만9000명으로 전년동월(44만 1000명)에 비해 크게 낮고, 2016년 9월 이후 4개월째 20만명대의 낮은 증가폭이 이어지고 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지난달 피보험자 규모가 가장 컸던 제조업(357만5000명)의 경우 전년동월대비 1100명 감소했다. 최근 수출 회복에도 경기침체와 구조조정 등의 영향으로 전월에 이어 2개월째 감소세를 나타냈다.
제조업은 조선업의 구조조정이 계속 진행 중이고, 수출의 취업유발계수가 소비 또는 투자의 유발계수보다 낮은데다가 제조업 취업유발계수도 낮은 점을 고려할 때, 최근 수출 회복에도 고용은 과거와 같은 증가세를 보이기는 어려워 보인다고 고용부는 분석했다.
전자통신, 전기, 철강업종 등을 중심으로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면서 노동시장 구조개편이 지속되고 있는 점도 제조업 활황의 걸림돌로 작용한다.
선박, 철도, 항공장비 등을 제조하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역시 선박수주량 감소 등 경기악화로 1월 고용규모가 3만5000명 감소했다. 피보험자 규모가 가장 큰 전자부품, 컴퓨터, 통신장비 제조업은 2014년 1월 이후 37개월 연속 피보험자 수가 줄었다.
그간 피보험자가 꾸준히 증가해왔던 식품, 화학제품 등 일부 유망업종은 올해 1월 들어 증가폭이 다소 둔화됐다. 그나마 식품제조업 피보험자수는 25만8000명으로 1인 가구 및 여성 경제활동 참여 확대에 따른 간편식 생산 확대와 수출증가 등으로 가장 큰 증가세를 유지했다.
서비스업은 도소매(6만3000명), 숙박음식(4만7000명), 전문과학기술업(3만6000명)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추세는 둔화되고 있다.
운수업 중 해운산업을 포함하는 수상운송업 피보험자는 1만6200명으로 2013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한 반면, 항공 운송업 피보험자는 저유가 및 여객·화물 운송 증가로 꾸준히 증가해 운송관련서비스업 피보험자도 증가세를 지속했다.
은행, 증권, 연금·보험 및 관련서비스업을 포함하는 금융보험업 피보험자는는 1년 전보다 2700명 줄어든 45만9000명으로 11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다. 지난해 12월에 비해 5200명이나 줄었고 남성은 50대, 여성은 30대에서 크게 감소했다. 은행 등 금융업 중심으로 큰 폭으로 감소해 상반기 신규 충원이 부족할 경우 감소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피보험자 증가율은 숙박음식업(9.7%),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7.1%), 연구개발, 법무, 기술, 엔지니어링 등을 포함하는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5.6%)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50대에서 13만4000명(5.9%)으로 피보험자가 가장 많이 증가했고, 60세 이상은 10만3000명(10.2%)으로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30대 피보험자는 3만8000명(-1.1%) 감소했는데 이는 30대 인구의 감소에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사업장 규모별 피보험자는 300인 미만에서 23만7000명(2.7%), 300인 이상에서 5만2000명(1.6%) 증가해 중소사업체에서 피보험자 증가세를 주도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제조업의 경우 300인 미만 사업장에서는 2000명(0.1%) 증가한 것과 달리, 300인 이상 사업장에서는 3000명(-0.3%) 감소, 대기업의 감소폭이 중소기업의 증가폭보다 더 큰 것으로 파악됐다.
성별 피보험자는 남성은 전년동월대비 10만9000명(1.5%) 증가, 여성은 18만명(3.6%) 증가해 여성 피보험자의 비중(41.3%)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노동이동의 정도를 보여주는 피보험 자격 취득자는 올해 1월 63만7000명으로 5.7%(3만9000명) 감소했고, 상실자는 72만2000명으로 4.6%(3만5000명) 줄었다.
경력 취득자는 54만4000명으로 전체 취득자의 85.5%를 차지했고, 신규 취득자(9만2000명)보다 5.9배 많았다.
고용부 관계자는 "피보험 자격 상실자는 연말, 연초에 취득자보다 많아지는 성향을 보이고, 2월 이후에는 채용 등으로 취득자가 더 많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