全국토 묘지화→봉안당화 막아야…완전 산분제로

2025.02.11 15:13:48

자연장 허가 계기로 산분제 정착 시켜야


【STV 김충현 기자】“전 국토의 묘지화를 막읍시다.”

1990년대 처음 도입된 화장(火葬) 운동의 캐치 프레이즈이다.

사망인구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매장률이 그대로 유지될 경우 전 국토의 묘지화를 피할 수 없다는 경고였다.

지속 가능한 개발을 하기 위해서는 화장률을 높여야 하고, 그래야만 후손들에게 묘지화된 국토를 물려주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전 국민을 상대로 한 캠페인을 통해 화장률이 점차 높아지면서 매장률이 낮아졌고, 묘지의 증가세도 꺾였다.

급기야 화장률이 90%대까지 치솟으면서 매장묘에 대한 부담은 크게 줄어들었다.

하지만 화장률 상승 이후에는 화장 이후 골분 처리 문제가 새로이 불거졌다. 화장 이후 대부분 봉안당에 안치를 하면서 봉안당이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는 것이다.

서울, 부산 등 대도시권만 아니라 중소도시에 설치된 화장시설에서도 제2, 제3의 봉안당이 신축되고 있다.

봉안당은 한정적인데 봉안하려는 유골은 끊임없이 밀려들면서 봉안당 신축이 불가피한 것이다.

장례업계 관계자들은 이를 해결할 방법으로 ‘완전 산분제(자연장)’을 꼽는다.

수목장, 잔디장, 해양장 등 자연장을 통해 봉안당 신축의 필요성을 낮추고, 전 국토의 봉안당화를 막아야 한다는 것이다.

일부 강경파들은 수목장을 할 때 나무에 어떤 유골이 묻혔는지 표식도 남기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고인의 추모가 특정 장소나 표식 등을 중심으로 진행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완전 산분제’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전 국토의 봉안당화’를 막기 위해서는 반드시 검토해야 하는 방안이기도 하다.



김충현 기자 beinlow@gmail.com
Copyright @2007 STV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STV ㅣ 사업자등록번호 : 298-86-00066 서울 영등포구 국회대로68길23, 902 ㅣ 대표전화 : 02-6264-4114 팩스 : 02-6442-5113 등록번호 : 서울아00455(2007.11.8) /발행인: 박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