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차용환 기자】일본이 1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관세 협상을 진행한다.
일본 측은 당초 스콧 배선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과 장관급 회담을 계획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협상장에서 주일미군 주둔비 문제를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일본 측은 첫 협상부터 방위비 문제를 제기할 것은 예상하지 못했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날 교도통신, 니혼게이자이신문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아카자와 료세이 일본 경제재생상은 미국 워싱턴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베선트 재무장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그리어 대표와 함께 관세 협상을 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일본이 (워싱턴으로) 오고 있다”면서 “관세와 군사 지원 비용, 공정무역에 관해 협상할 것”이라고 했다.
군사 지원 비용은 주일미군 주둔군 비용 문제를 뜻한다. 주일미군은 6만명 규모이며, 일본 측은 방위비 14억 달러(1조 9800억원)를 부담하고 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협상에 직접 참여하겠다고 밝혀 이는 어느정도 예상된 바 있다. 하지만 주둔군 비용 협상을 초장부터 꺼낼 건 뜻밖이라고 일본은 반응했다.
닛케이는 일본 정부 관계자가 “첫 협상에 주일미군 주둔비 문제가 나올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한 일본 외무성 간부는 “모처럼 (협상하기 위해) 일본에서 왔으니 (트럼프 대통령이 인사 차) 얼굴을 보이는 것이면 좋겠다”라고 희망섞인 의견을 아사히신문에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27년 일본과 방위비 재협상을 앞두고 방위비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향조정하려는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 2월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 회담에서도 일본의 방위비 및 주일미군 주둔비 예산을 끌어올리라고 압박한 바 있다.
이사바 총리는 당시 “방위비는 일본이 결정하겠다”면서 선을 그은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