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충현 기자】경남 산청군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을 진화하다 산불진화대원 3명과 공무원 1명 등이 순직한 가운데 현직 소방대원이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지난 22일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현직 소방으로 산불진화대원 관련 화나는 점’이라는 제목의 글이 게재됐다.
글쓴이 A씨는 “인명피해가 없으면 방어 전술로 적극적인 진압 말고 더욱 확산하지 않게만 하는 것이 기본이다. 산불이 발생하고 강풍이 불면 사실 퍼지는 건 못 막는다”면서 “안전거리를 확보하면서 물만 뿌리다가 본인이 위험할 것 같으면 피하는 게 상책”이라고 했다.
산불진화대원은 산림청 소속이며 산불 현장에 투입돼 진화 작업을 진행하는 사람들이다.
흔히 산불도 소방대원이 진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소방대원은 산불이 민가로 넘어오는 걸 막고, 인명을 구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A씨는 일몰 전 진화에 총력을 다하겠다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의 발언에 대해서도 동의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A씨는 “결정권자들이 앞으로 '적극적인 화재 진압하겠습니다'가 아닌 '본인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 화재 진압을 하기 바랍니다'라고 메시지를 내놨으면 좋겠다”라고 했다.
이어 “일반직 공무원들은 화재 진압에 대해 잘 모르는데 무조건 위에서 투입하지 않았으면 한다”면서 “방화복도 없이 맨몸으로 가면 정말 위험하다”라고 햇다.
A씨는 산불 진화대원에게 지급하는 보호 장비가 너무 열악하다는 점도 꼬집었다.
그는 “산불 진화대원 보호장비가 너무 열악하다”면서 “산불 진화대원들이 보급된 보호장비를 전부 필수로 장착해야 한다”라고 했다.
산청군 산불 현장에서 극적으로 생존한 대원의 가족들은 투입된 대원들이 평상시 입던 산불 감시복을 입었다고 밝혔다.
게다가 방염복도 지급되지 않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앞서 이날 경남 산청군 시천면 일대 화재 현장에 산불 진화를 위해 투입된 창녕군 소속 진화대원 8명과 인솔 공무원이 1명이 불길에 고립된 바 있다. 이들 중 5명은 자력으로 대피했으며, 4명은 순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