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정치팀】= 2월 임시국회가 마지막 본회의인 2일까지 여야 간 감정싸움만 이어가다 초라하게 마무리됐다. 여야는 이날 2월 임시국회 마지막 본회의를 열고 세월호 선체조사위 설치 특별법 등 172개 안건을 논의했다.
그러나 선거연령을 만18세로 하향하는 공직선거법 개정안과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설치법 등 당초 2월 국회에서 논의키로 했던 개혁법안 통과는 여야 합의 실패로 본회의 표결에도 오르지 못했다.
여야가 '전향적 검토' 수준에서 원칙적 합의를 봤던 노동4법 중 3개 법안 역시 파견법 포함 여부가 쟁점이 되며 결국 논의가 마무리되지 못해 통과가 무산됐다. 정세균 국회의장이 특검법 개정안 직권상정 거부 입장을 굽히지 않으면서 박영수 특검팀 활동기간 연장도 실현되지 못했다.
여야는 다만 세월호 선체 조사를 위한 위원회 설치 근거를 담은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을 비롯해 조기대선시 재외국민의 투표권 행사를 가능케 하는 공직선거법 개정안, 5·18 헬기총격 진상규명 촉구 결의안 등을 통과시켰다.
그러나 다수 의원들이 본회의 종료 전에 자리를 뜨면서, '호남고속철도 2단계 사업 조기완공 및 목포~제주 해저터널 건설 촉구 결의안'과 '2016년도 국정감사 결과보고서 채택건', '2016년도 정무위원회 국정감사 결과에 따른 감사원에 대한 감사요구안' 등 3개 안건은 표결조차 하지 못하는 민망한 상황이 벌어졌다.
한편 여야는 마지막 본회의 종결 직전까지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 문제와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탄핵 논의, 박영수 특검팀 활동기간 연장 무산 등을 두고 설전을 이어갔다.
이만희 자유한국당 의원은 "박 대통령에 대한 국회의 탄핵안 의결 과정과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절차, 그리고 특검 수사 모두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박 대통령을 비호하고 나섰다.
이 의원은 또 야3당이 황 대행 탄핵을 주장하는 데 대해서도 "권한대행이 도대체 헌법과 법률에 어떤 위배 행위를 저질렀는지 반문하고 싶다"며 "법에 규정된 권한을 정당하게 행사한 권한대행에 대한 탄핵을 추진하겠다는 거야 말로 다수의 힘에 의지한 횡포"라고 비난했다.
같은 당 강효상 의원은 "제1당 유력 대선 후보인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에게 호소한다. 내주 중 박 대통령과 회동해 이 문제를 풀어 달라"고 민주당 유력 주자인 문 전 대표를 향해 공세를 펴기도 했다.
강 의원은 또 활동기간이 종료된 박영수 특검팀에 대해 "최소한의 인원으로 공소유지 업무만 할 수 있는 상황인데 좀비처럼 살아 꿈틀대고 있다"고 비난을 퍼부었다.
반면 윤소하 정의당 의원은 "동료 의원의 좀비 특검이라는 발언을 듣고 심장 한 켠이 무너지는 것 같다"며 "그러면 그토록 열렬히 특검을 지지하고 특검 연장을 주장했던 80%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이 좀비란 말이냐. 이런 인식을 가지고 국정을 운영해 왔으니 나라 꼴이 이 모양 이 꼴이 아니냐"라고 반박했다.
이종걸 민주당 의원은 "특검 연장법 처리에 반대하는 자유한국당 몇몇 사람들은 사실 자유민주주의 헌법의 보호를 받을 가치도 없는 사람들"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의원은 또 탄핵 반대 집회 참가자들을 겨냥, "국회의원에 대한 백색테러를 공공장소에서 선동하고, 자유한국당은 이런 자들에게 감사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자유한국당 법사위 간사라는 지위를 가진 사람, 특검법 처리에 반대하는 김진태 의원 그 사람도 그 일종이다. 국회의원 제명을 추진해야 할 만큼 중대한 반헌법, 반국가행위자"라고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