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해드림출판사, ‘사람이 그리운 섬’ 출판

2012.10.15 07:15:26

혀끝에서 물결이 솟고 붓 아래 꽃이 피다

 

 

김명희 수필가의 두 번째 수필집사람이 그리운 섬이 오랜 퇴고 끝에 출간되었다. 섬 하나에 이야기 하나를 엮어 다도해 같은 집을 만든 것이다. 한 하늘을 이고 같은 바람을 끌어안은사람이 그리운 섬’, 바로 우리들의 섬이다. 지금 외롭다면 눈을 들어 옆에 서 있는 섬을 보라고 한다. 그리고 이야기를 걸어보라고 한다. 그 섬도 사람을 그리워하고 있다는 것이다.

 

사람이 그리운 섬

 

각자 섬으로 서 있는 다도해에는 크고 작은 섬들이 있다. 우리네 인생도 다도해와 같다. 각자 섬으로 서 있고, 그 섬마다 이야기가 있다. 푸른 바다에 하얀 선을 그리며 배들이 이 섬 저 섬으로 마실 다니며 사람들을 풀어놓기도 한다. 세찬 바람이 머리카락을 흩어 놓고 가면, 파도들이 달려와 놀아준다. 그러다 어두운 밤이 되면 검은 바다에 몸을 담그고 온전히 혼자가 된다. 그래서 섬은 늘 혼자이다. 우리가 혼자인 것처럼.

 

사람은 섬이다

 

‘사람이 그리운 섬에서도 날이 밝으면, 바람이 지나가며 아는 체를 한다. 그리고 새들이 찾아와 동백섬의 동백이 얼마나 예쁜지, 돌섬 바위 사이에 있는 둥지에 알이 몇 개나 들어있는지, 허리가 휜 소나무가 얼마나 심심해하는지, 이 섬 저 섬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래서 섬은 꼿꼿하게 서 있을 수 있다. 수필가 김명희는사람은 섬이라는 것, 사람이 그리운 섬이라는 것을 말하고 싶은 것이다.

 

저자가 꿈꾸는 섬

 

김명희가 꿈꾸는 섬은, 소리 내어 옆 섬을 부를 수 있는, 물속에 잠겨있는 팔을 들어 만져보고 싶은, 바닷물에 몸 담그고 체온을 나누고 싶은 그런 섬이다. 섬과 섬 사이에서는 다리가 이어지기도 하고 배가 사람을 태워 나르며 섬을 이어주기도 한다. 바로 관계이다. 사랑과 관심이 섬과 섬을 이어주는 든든한 다리요, 커다란 배다.

 

섬 하나하나가 모여 마을을 이룬다. 한 하늘을 이고, 같은 바람을 끌어안고, 새도 품어주고 꽃을 피워내 나비도 맞아주는 아름다운 섬이 바로 우리들의 섬, ‘사람이 그리운 섬이다.

 

희한한 새

 

큰 아들이 신기한 듯 바라보더니엄마. 희한한 새가 다 오네요.” 한다. 어떤 새가 왔기에 그런가 하고 봤더니, 그 흔한 참새다. 아마도 가까이서 자세히 본 적이 없어 낯선가 보다. “네가 모르면 희한한 새냐?” 하고는 가만 생각을 해보니, 우리는 잘 알지 못하면 낯설어하고 거리감을 느낀다. 알려고 하기 전에 나와는 다른 사람으로 치부해버리려는 습성이 있는 것 같다.

 

‘생텍쥐페리’의어린왕자에서 여우는 길들인다는 것은 관계를 맺는 것이고, 관계를 맺는 것은 서로에게 필요한 사람이 되는 거라고 설명한다.

 

【임창용 기자 news@stv.or.kr

 www.stv.or.kr



STV
Copyright @2007 STV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STV ㅣ 사업자등록번호 : 298-86-00066 서울 영등포구 국회대로68길23, 902 ㅣ 대표전화 : 02-6264-4114 팩스 : 02-6442-5113 등록번호 : 서울아00455(2007.11.8) /발행인: 박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