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질논란' 조대엽 사퇴···국정운영 파장·자질논란 부담된 듯

2017.07.14 09:18:09

【stv 사회팀】= 조대엽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가 스스로 물러난 것은 야당의 거센 반발 속에서 청와대가 임명을 강행할 경우 국정운영에 미칠 파장에 대한 부담과 끊임없는 자질논란에 따른 심적 부담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대통령은 일자리 추가경정예산안 처리, 정부조직법 개편안 처리 등 처리가 시급한 국정과제를 눈 앞에 두고 있다. 문 대통령이 조 후보자 임명을 강행하면 급속히 경색된 정국이 점점 더 꼬일 수 있다.

 특히 일자리 추가경정예산안 처리는 정부의 최우선 과제인 일자리 창출에 꼭 필요하지만, 야당의 반발로 국회 통과가 어려워질 수 있다. 야당이 문 대통령의 임명 강행을 빌미로 추경을 반대할 명분을 강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이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강경화 외교부 장관 임명을 강행하면서 제기된 협치 문제가 또 다시 불거져 나올 수도 있다. 국정운영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다는 얘기다. 이렇게 되면 조 후보자로서는 부담을 느낄 수 밖에 없다. 문 대통령이 연이어 임명을 강행하자 야당 내부에서는 "협치는 물건너갔다"는 비판이 나왔었다.

 조 후보자가 사퇴를 결정하기 전 문 대통령이 임명을 강행하면 야당의 거센 반발 속에서 7월 국회가 사실상 '빈손'으로 마무리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왔다. 

 고용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후부터 끊이지 않은 '자질 논란'도 조 후보자가 사퇴 카드를 꺼내든 한 요인으로 분석된다.

 조 후보자는 음주운전 전력과 이에 대한 거짓 해명으로 비난 여론에 휩싸였고, 상습적으로 임금체불을 한 회사 경영에 관여했다는 의혹에도 시달려왔다.

 조 후보자는 13일 고용부 대변인실을 통해 "임명 여부가 정국 타개의 걸림돌이 된다면 기꺼이 장관 후보 사퇴의 길을 택하겠다"며 "이 선택이 부디 문재인 정부의 성공에 보탬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조 후보자는 새 정부에서 안경환 법무부 장관 후보자에 이어 두 번째로 낙마한 사례로 기록되게 됐다.

webmaster@stv.or.kr
www.stv.or.kr



STV
Copyright @2007 STV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STV ㅣ 사업자등록번호 : 298-86-00066 서울 영등포구 국회대로68길23, 902 ㅣ 대표전화 : 02-6264-4114 팩스 : 02-6442-5113 등록번호 : 서울아00455(2007.11.8) /발행인: 박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