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사회팀】= 문재인 정부 첫 검찰총장 후보자로 지명된 '특수통' 문무일(56·사법연수원 18기) 부산고검장이 검찰의 과학수사 기법을 끌어올린 '선구자'와 '원조'로 꼽히는 것으로 알려졌다.
6일 검찰 등에 따르면 문 후보자는 2004년 대검찰청 특별수사지원과장과 2005~2006년 대검 과학수사2담당관으로 재직하면서 우리 나라 최초로 회계분석 및 디지털 수사방식을 도입해 증거 중심의 과학수사 시스템을 확립하는 데에 일조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2005~2006년 과학수사2담당관으로 근무한 문 후보자는 과학수사기법 시스템을 구축을 위한 실무 책임자로 활동했다.
당시 실무 책임자인 그는 선진 과학수사 기법을 도입하기 위해 일선청에서 근무하는 담당 검사를 외국으로 적극 파견하는 일을 추진했다.
단기 파견 등으로 일선 검사를 외국으로 보내 사이버범죄 교육을 받도록 하는 것은 물론 연구 교류를 통해 선진 기법을 배워오도록 한 것이다.
특히 2006년 홍콩으로 검사를 파견해 대학 교수 등 전문가들로부터 암호해독 기법을 전수받도록 하기도 했다.
문 후보자는 2006년 11월 한 매체와의 인터뷰를 통해 '디지털포렌식센터는 법과학 분야에 해당하는 증거 감정 업무를 담당하는 국립과학수사연구소와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했다.
또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는 디지털 시대로 디지털 증거의 수집과 분석이 수사업무의 결과를 좌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디지털 수사를 단순 증거 감정 차원이 아닌 수사의 한 분야로 인식하면서 디지털 수사에 맞는 증거수집과 분석이 필요하고 이에 맞는 전문 인력이 필요함을 강조한 취지다.
일선청의 한 부장검사는 "문 후보자가 디지털포렌식 수사기법을 우리나라에 처음 도입한 검사"라며 "과학수사, 각도기로 딱딱 재는 것처럼 수사하는 것을 좋아하는 스타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대검찰청은 2006년 이후 과학수사 분야 개선에 집중, 문 후보자가 맡은 과학수사2담당관실을 2007년 3월 디지털수사담당관실로 개편하고 서울중앙지검에 디지털수사팀을 신설했다.
이후 2008년 디지털포렌식센터를 개관했고 센터는 2012년 11월 현재의 국가디지털포렌식센터(NDFC·National Digital Forensic Center)로 명칭을 변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