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사회팀】= '국민의당 제보 조작' 사건 묵인·지시·개입 의혹에 휩싸인 이준서(39) 국민의당 전 최고위원이 14시간에 가까운 고강도 검찰조사를 받고 6일 귀가했다.
서울남부지검에 전날 오후 3시27분께 도착한 이 전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5시10분께 피곤함이 역력히 느껴지는 표정을 한 채 청사 밖으로 나왔다.
그는 "이번 조사에서는 주로 뭘 소명했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검증 부분에 대해 주로 많이 조사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 전 최고위원은 전날 도착 직후 "제보 검증 소홀을 인정한다는 건 (조작 개입 등의) 미필적 고의를 인정한다는 의미인가"라고 기자들이 묻자 "그런 것이 아니라 '내가 더 검증을 (철저하게) 했으면 좋았을텐데'하고 후회한다는 의미"라고 말했었다.
검찰은 허위 제보자료를 만든 혐의를 받고 있는 국민의당 당원 이유미(38·여·구속)씨가 대선 전날인 5월8일 이 전 최고위원에게 "무섭다" "그만하고 싶다"는 취지의 말을 한 통화녹취록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5일 확인됐다.
검찰은 이 통화 내용과 같은 날 두 사람의 카카오톡 대화 등을 근거로 이 전 최고위원을 집중 추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6일 이 전 최고위원은 해당 통화녹취록에 대해 "말하기 좀 그렇다"며 말을 아꼈다. 이어 취재진이 "이씨와 통화에서 '무서우니 그만하고 싶다'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나"라고 재차 묻자 "카카오톡에서만 들은 적 있다"고 대답했다.
이씨가 검찰에 긴급체포되기 전날인 지난달 26일에 제보 조작 사실을 처음 알았다는 게 그의 한결같은 주장이다.
그는 이날에도 "누차 말씀드리지만 압박을 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국민의당 진상조사단은 이 전 최고위원과 박지원(75) 전 국민의당 대표가 조작된 제보 발표 전인 5월1일께 36초간 통화한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고 5일 전했다.
4일 이 전 최고위원으로부터 지난 4~6월 두 달 분의 휴대전화 발신내역을 제출받아 확인한 결과 5월1일 오후 4시31분 이 전 최고위원 발신으로 두 사람이 36초간 통화한 기록을 발견했다는 것이다.
이 전 최고위원은 "박 전 대표와 36초 통화한 후에 그 후에 또 통화한 적 있나"라는 질문에 "없다"고 짧게 대답했다.
이와 관련해 박 전 대표는 5일 뉴시스와 통화에서 "5월1일에 통화한 기억이 나는 지금도 없고 내 발신기록엔 없었다"며 "이 전 최고위원의 발신기록을 어제 전달 받아 살펴보니 기록이 남아있어 통화사실은 과학적으로 입증됐지만 지금도 (통화 사실과 내용은) 기억은 안 난다"고 말했다.
이 전 최고위원은 지난 3일부터 연일 검찰에 불려나와 조사를 받고 있다.
이씨 긴급체포 이후 이씨를 제외하고 이번 사건과 관련해 검찰에 1회 이상 소환조사를 받은 국민의당 관계자는 현재까지 이 전 최고위원이 유일하다.
검찰은 3일에 대선 당시 각각 국민의당 공명선거추진단 수석부단장·부단장이었던 김성호(55) 전 의원과 김인원(54) 변호사, 4일에는 이씨로부터 조작 사실을 처음 들은 조성은(29) 전 국민의당 비대위원도 소환해 조사했다.
검찰은 이씨, 이 전 최고위원, 김 전 의원, 김 변호사 등 피고발인이나 피의자로 입건된 인물들의 혐의 입증에 일단 주력한 후 공명선거추진단장을 맡았던 이용주(49) 의원 등 국민의당 '윗선' 관계자들의 소환을 검토하겠다는 계획이다.
국민의당은 지난 5월5일 당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아들 준용씨의 미국 파슨스 스쿨 동료가 말한 녹취 파일을 입수했다면서 준용씨의 한국고용정보원 특혜 입사에 문 후보가 개입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더불어민주당은 다음날 김 전 의원과 김 변호사 등을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 유포 등의 혐의로 고소했고, 국민의당은 지난달 26일 해당 파일이 이씨가 동생을 가담시켜 조작한 것으로 밝혀졌다고 공식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