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경제팀】= 미국 정부가 한국산 철강 수입을 제한하는 작업에 착수한 것과 관련해 정부가 한국의 대미 투자 계획에 부정적인 영향이 우려된다는 내용의 서면 의견서를 미국에 제출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5일 최근 미국의 국가 안보 관련 행정명령 등 철강 분야 통상현안 대응방안을 업계와 함께 논의하기 위해 '철강 통상현안 국내 대응 태스크포스(TF)'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산업부와 포스코·현대제철·동국제강·동부제철·세아제강, 철강협회가 참석했다.
앞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철강 수입이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도록 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에 우리 정부와 업계는 공청회 참석과 서면의견서 제출 등 조사 절차에 공동으로 적극 대응 중이다.
정부는 "한국은 미국의 안보 동맹국으로서 안전하고 신뢰 가능한 철강 공급국이므로 한국산 철강이 미국의 안보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내용의 서면 의견서를 미 측에 보냈다.
또 미국의 한국산 철강 수입이 최근 감소하고 있고 철강 제품에 대한 수입제한 조치가 발동될 경우, 미국 내 원활한 소재 공급에 차질이 발생해 향후 한국의 대미 투자 계획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우려된다는 점을 설명했다.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철강 제품에 대해 기존의 반덤핑·상계관세가 아닌 새로운 형태의 수입규제가 발동될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철강 통상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고 평가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업계, 학계, 전문가 등과 함께 현재와 같은 긴밀한 협력체계를 유지하여 양자, 다자간 통상현안에 적극적으로 대응해나가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