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경제팀】= 오는 13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현재 1.25%인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이라는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1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금통위는 지난해 6월 기준금리를 1.50%에서 1.25%로 인하한 뒤 현재까지 동결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미국이 지난달 기준금리를 1.00%으로 올리면서 우리나라와 기준금리 차이는 0.25%포인트로 좁아진 상태다. 미국이 올해 두번 더 금리를 올릴 경우 하반기에는 금리가 역전된다.
하지만 최근 경제 상황을 보면 한은이 섣불리 금리를 올리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는게 중론이다. 수출이 살아나고 저물가 우려가 다소 완화됐지만 국내 내수 경기는 여전히 회복세가 더디기 때문이다.
북한이 4월에 핵실험 등 도발에 나설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미국이 핵추진 항모를 한반도 주변에 배치하는 등 지정학적 리스크도 커지고 있다.
또 가계부채가 1340조원을 넘어선 상황에서 한은이 금리를 올릴 경우 저소득·취약 가구의 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져 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가계부채 증가 속도에 대한 우려 때문에 금리를 내리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이번 금통위에서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수출이 견조하게 올라오고 있지만 최근 대외 리스크가 커진데다 민간 소비 회복세가 더뎌 경기에 확신을 가질만한 타이밍이 아닌 것 같다"며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한다"고 말했다.
김상훈 KB증권 수석연구원도 "당분간은 가계부채 문제 때문에라도 인상이나 인하 모두 어려움이 있다"며 "이번에는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새 정부가 구성되면 새롭게 세워진 경제정책방향에 따라 통화정책을 운용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한은이 이번 금통위에서 통화정책방향을 의결한 뒤 '2017 경제전망(수정)'을 발표한다.
앞서 한은은 지난 1월 발표한 경제전망에서 올해 우리나라의 성장률 전망치를 2.8%에서 2.5%로 하향조정했다.
하지만 최근 수출 회복에 따라 일부 민간 연구기관들이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 전망을 낙관적으로 수정하고 있어 한은이 이런 기조에 동참할지에 관심이 쏠린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최근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1%에서 지난달 말 2.5%로 0.4%포인트나 올려잡았다.
지난달 말 골드만삭스 등 10개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이 내놓은 올해 우리나라의 성장률 전망치도 2.4%에서 2.5%로 상향조정됐다.
아직 한은은 신중론을 유지하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대내외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기 때문에 다 짚어보고 있다"며 "지난 전망때보다 수출 여건 등은 좋아졌지만 중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 등으로 리스크가 커진 부분도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