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사회팀】= 정부가 U-20월드컵 대회, 2018 평창올림픽 등 대규모 국제행사를 앞두고 화학사고·테러 대응을 강화하고 나섰다.
환경부 소속 화학물질안전원은 첨단장비 4종을 전국 7개 유역·지방환경청과 6개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에 배치했다고 27일 밝혔다.
김정남이 유독성 신경작용제 VX로 살해된 사건을 계기로 국제사회에서 화학무기의 위협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화학물질안전원이 새롭게 보강한 첨단장비는 화학작용제탐지기 13대, 고체·액체 분석용 적외선분광기 6대, 드론 13대, 현장긴급출동차량 6대 등 4종이다.
화학작용제탐지기는 흡입하거나 섭취할 때 근육경련, 호흡곤란, 염증 등을 일으키는 신경작용제, 혈액작용제, 독성화학물질 등 26종을 10~90초 이내 탐지할 수 있다. 고체·액체 분석용 적외선 분광기는 2015년 프랑스 파리 테러 등에 사용된 폭발성이 강한 흰색 결정체인 TATP, 2009년 미국 항공기 폭발미수 테러에 사용된 충격과 열에 민감한 폭발 물질인 PETN 등을 현장에서 신속하게 분석한다.
드론은 현장인력이 화학사고나 테러가 발생한 현장에 가까이 접근하기 어려운 경우 상공에서 현장을 입체적으로 관찰하는 데 활용된다. 이번에 6대가 추가 배치된 현장긴급출동차량은 화학사고 대응장비를 상시 탑재하고 신속하게 현장에 출동할 수 있다.
환경부는 올해 예산 38억원을 추가로 투입해 현장긴급출동차량 7대를 추가 배치하고 낡은 화학보호복, 공기호흡기, 시료채취장비를 전면 교체할 예정이다. 원거리 화학영상탐지시스템, 기체 분석용 적외선분광기를 추가로 도입해 현장 탐지능력을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신건일 화학물질안전원 사고대응총괄과장은 "다가오는 U-20월드컵 대회, 2018 평창올림픽 등 대규모 국제행사에 대비하기 위해 경찰·소방 등 대응기관과 현장 합동 훈련을 하는 등 화학사고·테러 대비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