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차용환 기자】한미 간 안보 의제로 급부상한 ‘주한미군 역할 재조정’ 논의가 주한미군 감축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안보 전략이 중국 견제를 최우선 순위로 설정하고 재편 작업 중인 가운데 그간 대북 억제에 집중한 주한미군 전력의 재조정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11일 군 소식통은 “주한미군 감축을 상정한 한미 간 구체적 논의는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다”라고 하면서도 “대(對)중국 억제에 화력을 집중하기 위한 미국의 해외 주둔 병력 재편 작업은 이미 시작됐다”라고 말했다.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의 발언은 주한미군 감축 현실화 가능성에 기름을 부었다. 브런슨 사령관은 지난 8일 국방부 출입 기자단과 첫 간담회에서 “(주한미군의) 역량을 묶어둔다면 군사적으로 적절하지 않다”면서 “우리의 이동을 막는 규정은 없다”라고 했다.
주한미군의 전력적 유연성을 강화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유사시 한반도에 2만8,500명의 미군 병력을 묶어두지 않고 급파하겠다는 뜻을 시사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감축이 진행되면 ‘순환 배치’ 병력이 제1의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주한미군 병력 중 지상군은 4,500~5000명의 병력과 장갑차 300여 대로 구성된 스트라이커 여단이 포함돼 있다.
이들은 9개월 단위로 본토에서 한반도로 전개되는 순환 전력이다. 군 소식통에 따르면 스트라이커 여단이 감축 돼 대중 견제에 동원될 가능성이 높다.
브런슨 사령관은 지난 4월 미군이 오산 공군기지에 배치된 패트리어트 요격 미사일을 중동으로 옮긴 일을 거론하며 전략적 유연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대북 억제력을 유지하면서도 방공 시스템과 전투기를 급박한 위기 지역으로 옮길 수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