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정치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중국 정부에 기업 및 개인 10여곳에 대한 대북거래를 중단시킬 것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2일(현지시간) 정부 고위 관리를 인용해, 중국 기업 및 개인들의 대북 거래가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과 연관됐다는 판단에 따라 중국 정부에 조처를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미 정부는 중국이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을 경우, 미국 재무부가 수개월 내에 이들에 대한 독자 제재에 나서겠다고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언제까지 조치를 취하라는 데드라인을 중국에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올 여름이 끝나기 이전에 해당 기업 및 개인에 대한 독자 제재를 재무부가 단행할 수도 있음을 밝혔다는 것이다.
이 소식통은 WSJ에 10여곳의 기업과 개인이 누구인지 구체적인 제재 대상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이날 공개된 미국 안보 분야 연구기관인 국방문제연구센터(C4ADS)의 보고서 속에 등장한 중국 기업과 개인일 것으로 관측된다고 WSJ은 지적했다. 이 보고서에서는 지난 해 이집트에서 적발된 약 3만개의 북한산 로켓추진 수류탄 운송과 연관된 중국 기업인 남성 한 명과 이 남성의 누나 이름이 등장한다는 것이다.
이 관리는 “중국 정부에 특정 기업과 개인에 대한 조처를 희망한다고 말했다”면서 “그러나 선택해야 할 경우엔, 미국은 독자 행동할 준비가 돼 있다는 점도 중국에 전달했다”고 WSJ에 밝혔다.
C4ADS는 12일 발표한 '위험한 비즈니스: 북한의 (무기)확산 자금 시스템에 대한 분석'이란 제목의 보고서에서 2013~2016년 중국의 5233개 기업이 북한과 거래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또 대다수 거래가 합법적이기는 하지만, 일부는 북한의 미사일 프로그램에 전용될 수있는 '이중 용도' 물품들을 북한에 수출했다고 밝혔다.
특히 중국 단둥에서 활동하는 쑨쓰둥이란 남성과 그의 누나 쑨쓰훙이 운영하는 회사가 북한과의 위와 같은 거래에 '핵심 인물들(키 플레이어들)'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또 단둥 둥위안이란 회사가 북한에 '이중용도' 물품들을 수출하는 최대 기업이라고 지목하면서, 지난해 이 회사가 자동차와 탄두미사일 유도시스템 모두에 사용할 수있는 장치를 북한에 수출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