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정치팀】= 출범 초 숱한 화제를 뿌렸던 문재인 새 정부의 인사 '파격'이 점차 '안정' 쪽으로 접어드는 듯한 분위기다. 청와대는 출범하자마자 경제팀, 외교안보팀 등 비서실 인선에서 각계 '스타급' 인사를 불러모아 이른바 '드림팀'을 구성하는 모양새를 갖췄지만 이후 진행된 주요 공직자 인선과정에서 검증 때문에 홍역을 치르다보니 이제는 호흡 조절에 나서는 분위기가 읽힌다.
실제 이낙연 총리와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 인선에서 위장전입 등 각종 의혹이 불거지자 문재인 대통령은 이후 장관 인선은 상대적으로 인사청문회 통과가 유리한 현역 의원들로 채운바 있다.
아무래도 문 대통령이 후보시절 공약으로 내세웠던 이른바 '5대 비리 배제' 원칙에 스스로 발목이 잡히며 취임 16일 만에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이 사과 입장을 낸 것이 현 정부로서는 부담이 컸다.
지금도 장관 후보자들의 청문회가 진행 중이지만 야권에서는 연일 후보자들의 자질 부족을 언급하며 공격하고 있다. 이낙연 총리는 호남 출신이기에 국민의당에서 여당에 협조한 측면이 있다.
하지만 7일 진행될 강경화 후보자 청문회에서는 양상이 다를 것으로 점쳐진다. 벌써부터 국민의당은 강 후보자 만큼은 그냥 넘어갈 수 없다고 벼르고 있다. 또 김이수 헌법재판소장 후보자의 경우에도 5·18 당시 시민군을 도운 버스 기사에게 중형을 선고한 전력 등을 문제 삼아 가만있지 않겠다는 태세다.
국민의당이 이 정도니 보수정당인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은 말할 것도 없다. 특히 자유한국당은 의사일정 거부를 운운하며 협치는 없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다. 문재인 정부로서는 남은 장차관 인선이 여간 걱정이 되는 것이 아닌 상황이다.
이같은 이유에서 청와대는 남은 인사에는'파격'보다 '안정'에 방점을 둘 가능성이 크다. 이미 지난달 30일 행정자치부 등 4개 부처에 현역 의원들을 입각시킨 데 이어 다음날인 31일에는 통일부 등 6개 부처에 '내부 승진'이란 전통적 방식의 차관급 인사를 단행했다. 논란이 적을 법한 인사를 먼저 진행한 것이다.
이에 따라 아직도 수장이 지명되지 않은 국방부·법무부·통일부·여성가족부·보건복지부 등의 부처도 최우선 고려사항을 인사청문회의 무사 통과에 두고 내부 검증작업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렇듯 문재인 정부 첫 내각 구성이 당초 생각보다 순탄해 보이지는 않는다. 산적한 국내외 현안 등을 감안하면 우울한 전망이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