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경제팀】=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7일 "의료·건강서비스 분야에서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과 규제개선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가 창출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주 장관은 이날 판교 메리어트 호텔에서 열린 '바이오헬스 업계 간담회'에 참석해 이같은 내용을 담은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이날 정부가 발표한 발전전략에는 병원에 축적된 양질의 의료정보를 산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단기적으로 분산형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하는 내용이 담겼다. 의료데이터 유통의 제약 요인 극복을 위해 병원의 원본데이터를 수요기업에 제공하는 방식 대신, 병원과 수요기업 간에 분석 결과만 거래하겠다는 것이다.
그동안 모든 개인에게 사전 동의를 구하거나 각 병원의 데이터 포맷이 달라 의료데이터 유통에 어려움이 있었다.
정부는 분산형 빅데이터 태크스포스(TF)를 발족해 현행 법체계에 저촉되지 않고도 빅데이터가 조기에 구축되고 활용될 수 있는 분산형 바이오 빅데이터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주 장관은 "우수한 바이오 데이터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정보보호법 등의 제약으로 바이오 빅데이터의 구축과 활용이 제한됐다"며 "우수한 데이터가 병원에만 머물러 있고 산재된 데이터가 산업적으로 활용되지 않아 비즈니스의 창출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분산형 빅데이터 구축을 통해 피부 유형별 맞춤 화장품, 만성질환자 생활관리 등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기업 활동을 저해하는 규제 발굴·해소를 위한 바이오 규제개선 옴부즈만 운영과 중장기 네거티브 규제 도입도 검토한다.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해 바이오신약 스타트업 지원 사업을 올해 시범 도입하고 385억원 규모의 5년 미만 초기 바이오 기업 전문펀드도 본격 투자한다.
분산형 바이오 빅데이터 추진TF의 단장으로 위촉된 송시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장은 "4차 산업혁명의 본질은 결국 빅데이터를 어떻게 구축하고 활용할 것인가의 문제"라며 "병원과 바이오헬스 업계는 물론, 정보기술(IT), 화장품 등 관련 업계와 힘을 모아 바이오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4차 산업혁명 관련 비즈니스를 선점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