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경제팀】= 정부가 에너지신산업의 수출 사업화를 위해 에너지기술 분야에 올해 1000억 원의 실증연구 예산을 투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산학연 연구·개발(R&D) 전문가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에너지기술 실증연구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에너지 기술 사업화를 위해서는 발전소나 송배전망 등 전력·에너지망에 연결된 상태에서 개발된 제품의 안전성과 성능 검증등 실증연구가 필수적이다.
반면 최근 5년간 에너지 분야 실증연구는 투자 규모가 감소하고 과제가 칸막이형으로 소형화되는 등 침체기를 겪고 있는 상태다.
이에 정부는 올해 에너지기술 실증연구에 지난해보다 240억원이 늘어난 1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
정부는 스마트그리드, 신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에너지신산업 관련 실증연구에 신규 투자를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연구·개발 전담기관 내 기획부터 지방자치단체 인허가, 지역민원 대응, 사업화까지 사업 전주기를 컨설팅해주는 실증연구 전담 지원조직도 마련한다.
주요 기술 분야별로 실증연구 과거 이력과 현재 기술달성도, 미래 투자 방향을 담은 실증연구 전략 로드맵도 수립한다.
아울러 에너지 공기업의 대규모 국내 시험시설을 정부과제의 시험대로 활용하고 해외기관과 공동으로 실증연구 주제를 발굴, 사전타당성 조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정만기 산업부 차관은 "시장창출을 위한 테스트베드 형 대규모 실증사업을 앞으로 에너지뿐만 아니라 스마트공장, 자율주행차, 스마트 시티 등 산업분야로 확대하겠다"고 했다.